2023년 1월 1일
08:00 AM
Buffering ...

최근 글 👑

자바(Java) 학습 정리 2

2023. 8. 23. 14:35ㆍJAVA
반응형

변수(variable) 란 "특정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"에 붙인 이름

 

변수 선언하기 

1. 변수로 저장할 데이터가 어떤 종류 - 타입(자료형)

2. 변수의 이름 - 변수명 

 

출처 : 프로그래머스 자바 기초 입문강의

변수 여러개 동시에 선언 

- 타입이 동일한 경우 사용할 수 있음

- 콤마(,)를 사용

 

변수명 규칙

출처 : 프로그래머스 자바 기초 입문강의

 

변수 초기화 - 값 대입하기. 

1. "변수 초기화" 란? 변수에 값을 대입

2. 대입 연산자 (=) 를 사용

 

int age = 17;

 

기본 타입 종류

기본 타입 타입 분류
byte 정수
short
int
long
char 문자
float 실수
double
boolean 논리

1.정수 

- byte,short,int,long

- 변수에 정수 값을 저장할 때 사용 

타입 메모리 사용 크기 값 범위 예시
byte 1 byte -128 ~ 127 (3자리) byte value = 123;
short 2 byte -32,768 ~ 32,767 (5자리) short value = 1234;
int 4 byte -2,147,483,648~2,147,483,647
(10자리)
int value = 123456;
long 8 byte -9,223,372,036,854,775,808~9,223,372,036,854,775,807 (19자리 long value = 12345678999l;
long value = 12345678999L;

2. 문자 

- char

- 변수에 문자 값을 저장할 때 사용

- 작은따옴표(' ') 사용

- 컴파일러가 유니코드 매핑 변환 후, 유니코드 정수 값을 저장

char cahrValue = '가';

3. 실수 

- float , double

- 변수에 실수 값을 저장할 때 사용

출처 : 프로그래머스 자바 기초 입문강의

4. 논리

- boolean 

- 변수에 논리 값을 저장할 때 사용

- 논리 값 : 참 true , 거짓 false


 

상수 (constant) 절대 변하지 않는 수 

 

상수 선언 및 초기화하기 ( final ) 

- 왼쪽 앞에 final 추가

- 값을 딱 한 번만 대입할 수 있음

- 값이 한번 정해지면 이후 다른 값으로 변경이 불가능함 

final int MAX_VALUE = 17;

 

상수명 명명 규칙 

- 모두 대문자 

- 단어 두 개 이상인 경우, 단어 사이에 언더바(_)를 넣음

 


기본 타입 변환 

- 어떤 기본타입 변수를 다른 타입으로 변환 

 

자동 타입변환 (묵시적) - 강제 타입 변환 ( 명시적 )

 

자동 타입변환 

- 자동으로 타입이 변환되는 것 ( 강제 x ) 

 1. 값 범위가 작은 타입을 큰 타입으로 대입하는 경우 ( short -> int ) 

 2. 덜 정밀한 타입에서 더 정밀한 타입으로 대입하는 경우 ( int -> float ) 

 3. 연산하는 경우 

 

강제 타입 변환 

 - 강제로 타입을 변환 

 - 캐스팅 연산자 괄호() 사용

 - 괄호 안에는 변환할 타입을 입력

 

반응형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바(Java) 학습 정리 -4  (0) 2023.08.30
자바(Java) 학습 정리 -3  (0) 2023.08.24
자바(Java) 학습 정리 -1  (0) 2023.08.23
프로그래밍 공부 -1  (0) 2023.06.20
데이터 베이스(DB) 기초 개념 정리 공부  (0) 2023.06.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