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년 1월 1일
08:00 AM
Buffering ...

최근 글 👑

데이터 베이스(DB) 기초 개념 정리 공부

2023. 6. 14. 12:16ㆍJAVA
반응형

데이터(Data) : 현실 세계에서 단순히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이나 값
정보(Information):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물
정보시스템 : 조직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 유용한 정보를 만들어 주는 수단 
데이터 베이스 : 정보 시스템 안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 시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

데이터베이스 (DB) 정의 :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이다.
통합 데이터 , 저장 데이터, 공유 데이터, 운영 데이터 크게 네가지의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.

 

공유 데이터 :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함께 소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


통합 데이터 : 최소의 중복과 통제 가능한 중복만 허용하는 데이터


저장 데이터 :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


운영 데이터 : 조직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꼭 필요한 데이터


 

데이터베이스 (DB) 특징

  1. 실시간 접근
    :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에 대해 실시간으로 응답 
    -사용자가 데이터를 요청하면 수 초 내에 결과를 서비스함 
  2. 계속 변화 
    : 데이터의 계속적인 삽입, 삭제, 수정을 통해 현재 정확한 데이터 유지 
    -데이터베이스는 위 3가지 작업을 통하여 바뀐 데이터 값을 저장함
  3. 동시 공유 
    : 서로 다른 데이터의 동시 사용 및 같은 데이터의 동시 사용도 지원 
    - 동시: 병행이라고도 하며, DB에 접근하는 프로그램이 여러 개 있다는 의미 
  4. 내용 기반 참조
    :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나 위치가 아닌 내용으로 참조
    -DB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물리적인 위치가 아니라 데이터 값에 따라 참조됨

데이터의 분류

정형 데이터, 반정형 데이터, 비정형 데이터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.

 

정형데이터 : 구조화된 데이터, 즉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
데이터베이스 오라클 , MYSQL에서 어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을 할 때는 정형데이터


반정형 데이터 :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지만, 데이터 내용 안에 구조에 대한 설명이 함께 존재하는 데이터
- 구조를 하락하는 파싱과정이 필요하고 보통 파일 형태로 저장함

파싱과정: 웹상에서 주어진 정보를 내가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서버에서 불러들이는 것이다

비정형 데이터 : 외부의 웹 또는 크롤링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.
정해진 구조가 없이 저장된 데이터
*크롤링 :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해당 웹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

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

데이터 : 관찰의 결과로 나타난 정량적 혹은 정성적인 실제 값 
정보 :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한 것 
지식 :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

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의 검색과 변경 작업을 주로 수행함 
변경 : 시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해 수행하는 삽입, 삭제, 수정 등의 작업

 

데이터베이스의 개념
통합된 데이터 : 데이터를 통합하는 개념으로, 각자 사용하던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여
중복으로 인한 데이터 불일치 현상을 제거함 


저장된 데이터 : 문서로 보관된 데이터가 아니라 디스크, 테이프 같은 컴퓨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미함 


운영 데이터 : 조직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, 즉 업무를 위한 검색을 할 목적으로 저장된  데이터를 의미함 

 

공용 데이터 : 한 사람 또는 한 업무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가 아니라, 공동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를 의미함

 

데이터 베이스 용어 정리

DBMS: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요구된 형태의 정보로 제공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


스키마: 데이터가 저장되는 형식을 결정하는 전반적인 구조 
-시간이 지나도 드물게 변경됨


인스턴스:
특정 시점에서의 DB에 저장된 정보의 집합
-특정 시점에서의 DB에 저장된 정보의 집합을 의미,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


데이터 모델:
 의미, 데이터 타입, 데이터의 연산 및 데이터의 의미 및 일관성 제약조건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의 집합
- 관계형 모델, ER모델, 객체지향적 모델


DBMS 3단계 구조:
데이터 추상화와 데이터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념적, 논리적, 물리적 3단계 구조


ER모델 : 실제 모델에 기초하여 실제 모델의 객체를 나타내는 개체들과 개념들 간의 관계로 구성 


관계형 모델 : 릴레이션이라고도 하는 표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 


객체지향적 모델 : 객체들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, 다중 상속을 통해 정보 최적화

 

반응형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바(Java) 학습 정리 -4  (0) 2023.08.30
자바(Java) 학습 정리 -3  (0) 2023.08.24
자바(Java) 학습 정리 2  (0) 2023.08.23
자바(Java) 학습 정리 -1  (0) 2023.08.23
프로그래밍 공부 -1  (0) 2023.06.20